302HQ VS 304 스테인레스 스틸

302HQ 스테인레스 스틸은 셀프 태핑 나사 및 경량 기계식 나사 제조에 특별히 사용되는 표준 재료입니다. 또한 볼트, 고정 나사, 리벳 및 특수 패스너에도 사용됩니다. 302HQ라는 이름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ASTM에서는 이를 UNS S30430으로 나열하며 여기에는 "XM-7", "304CU" 및 "304HQ"도 포함됩니다. 이제 냉간압조 목적으로 384 및 305 강철을 완전히 대체했습니다. ISO 3506, 스테인레스 스틸 패스너에 대한 표준 사양, 클래스 "A2" 패스너에 적합한 구성 요소인 302HQ; 일반적으로 A2-70 및 A2-80 강도의 패스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됩니다. 안정적인 오스테나이트 구조로 인해 302HQ는 광범위한 냉간 가공 후에도 비자성을 가지며 영하의 온도에서도 우수한 인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04 스테인리스강과 비교하여 302HQ에 3% 구리를 첨가하면 냉간 가공 경화율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화학적 조성과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등한 재료

등급 UNS 아니요 소음 KO JIS
302HQ S30430 1.4567 X3CrNiCu18-9-4 SUSXM7

 

화학 성분(ASTM A493 S30430)

등급 에스 Cr 구리
302HQ 0.03 2.00 1.00 0.045 0.03 17.0-19.0 / 8.0-10.0 3.0-4.0

 

기계적 성질

302HQ 인장강도: 어닐링: 605, 연신: 660

밀도: 7900kg/㎡

탄성 계수: 193Gpa

평균 열팽창 계수: 0-100℃ (um/m/℃) 17.2; 0-315℃ (um/m/℃); 0~538℃(18.8)

열전도율: 100℃(W/M.K) 16.3; 500℃ (W/M.K) 21.5

비열: 0-100℃ (J/ kg.K) 500;

저항력: 720

 

내식성

내식성은 304 스테인레스강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입니다. 공식 및 틈새 부식은 따뜻한 염화물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고, 응력 부식 균열은 온도가 약 50°C 이상일 때 민감합니다. 302HQ는 실온에서 식수 내 염화물 약 200mg/L, 60℃에서 150mg/L를 견딜 수 있습니다.

 

내열 성능

내산화성이 우수하고 간헐 사용 온도는 최대 870°C, 연속 사용 온도는 최대 925°C입니다. 302HQ는 탄소 함량이 낮기 때문에 425~860°C 범위에서 연속 사용(탄화물 석출 없음)에도 안전합니다.

 

열처리

용체화(어닐링) 과정을 1010~1120°C로 가열한 후 급속 냉각합니다. 열처리해도 굳지 않습니다.

 

용접성

용접성이 뛰어나며 모든 표준 용융 용접 방법(용가재 포함 여부에 관계 없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08L 전극을 사용하세요. 저항 맞대기 용접이 와이어를 함께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스터드 용접 패스너의 제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용접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처리 

302HQ는 거의 가공되지 않습니다. 이 등급은 황 함량이 매우 낮아 성형성에 도움이 되지만 가공성은 떨어집니다. Improved 302HQ(UGIMA 4567)는 가공성이 매우 높고 황 함량이 약간 높으며 광범위한 냉간 성형 및 가공 작업이 필요한 용도로 칼슘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18/8스틸.

 

냉간경화

302HQ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중 가공경화율이 가장 낮은 강종입니다. 신선 데이터에 따르면 냉간 가공 영역이 1% 감소하면 인장 강도는 8MPa 증가합니다. 광범위한 냉간 작업 후에도 브랜드는 본질적으로 자석에 반응하지 않습니다. 일부 고강도 냉간압조 패스너는 약간 더 높은 가공 경화율을 요구하므로 304 또는 302HQ 대신 304L(또는 특수 등급 304M)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 등급의 가공 경화율은 약 10-12.5MPa입니다.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셀프 태핑 나사, 지붕 볼트, 기계식 나사, 볼트, 고정 나사, 블라인드 리벳 등을 포함한 모든 가혹한 냉간 압조 적용 분야.

스테인레스 스틸 321 VS 347

321 스테인리스강과 347 스테인리스강의 특성은 대부분 비슷합니다. 321 스테인리스강은 일종의 티타늄입니다. 18/8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304)의 안정화, 소량의 티타늄이 탄화물 석출 온도 범위에 들어갑니다. , 그것은 425-850 ℃이며, 가열 후 입계 부식이 나타나지 않으며 강도가 좋고 산화 벗겨짐에 대한 저항성과 수성 부식 저항성이 있습니다.

321H는 321의 고탄소 버전으로 고온 강도가 더 높으며 주로 900°C 정도의 고온 응용 분야에 사용됩니다. 321의 단점은 티타늄이 용접 아크 전이가 좋지 않아 용접 재료로 사용할 수 없다는 점과 니오븀을 함유한 347도 탄화물 안정화 역할을 하며 용접 아크를 통해 전사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347은 321 스테인리스강 용접의 표준용접재료이며, 모재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에서 화학적, 기계적 비교를 살펴보겠습니다.

 

화학 성분 비교

등급 에스 Cr N 다른
321 0.08 2.00 0.75 0.045 0.03 17.0-19.0 9.0-12.0 / 0.1 Ti=5(C+N)0.7
347 0.08 2.00 0.75 0.045 0.03 17.0-19.0 9.0-13.0 / / Nb=10(C+N)1.0

이들의 차이점은 Ti와 Nb의 첨가임을 알 수 있다. 321은 안정화된 원소 티타늄을 첨가하여 426℃~815℃에서 크롬 탄화물 형성에 저항할 수 있으므로 입계 부식 저항성과 고온 성능이 우수하고 304 및 304L보다 크리프 및 응력 파괴 특성이 더 높습니다. 또한 321은 저온 인성이 우수하고 용접 후 어닐링 없이 성형성과 용접 특성이 우수합니다.

347 스테인리스강은 니오븀 함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고 347H는 고탄소 버전입니다. 347은 304를 기반으로 한 니오븀 첨가 버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희토류 원소인 Nb는 결정립을 정제하는 데 있어서 티타늄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입계 부식에 저항하고 노화 경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특성 비교

등급 인장강도, Mpa 항복 강도, Mpa 신장률(50mm) 경도, HB
321 515 205 40 217
347 515 205 40 201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347&347H 스테인레스 스틸은 304 및 321보다 고온 성능이 우수합니다. 항공, 석유화학, 식품, 제지 및 기타 산업(예: 항공기 엔진의 배기관 및 분기관, 터빈 압축기의 고온 가스 파이프 및 부품 가공)에 널리 사용됩니다. 낮은 부하와 850℃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321에 티타늄을 추가하면 고온 및 우수한 내식성이 필요한 곳에 더 적합합니다. 고온 강도가 부족한 304 민감화 및 304L 용도에 적합합니다. 일반적인 응용 분야에는 열팽창 조인트, 벨로우즈, 항공기 배기 시스템 구성 요소, 발열체 슬리브, 용광로 구성 요소 및 열교환기가 포함됩니다.